정치/사회
-
“새 정부는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 열어라”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한 민주노총 임원과 산별 대표자, 수도권 지역 본부장 등 관계자들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새 정부에 요구한다! 민주노총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통합의 첫걸음은 상대방에 대한 인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지금이...
-
윤석열 당선인 "국민과의 약속대로 용산 국방부로 집무실 이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이 있는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국민과의 약속대로 용산 국방부로 집무실을 이전하겠다"며 "청와대는 임기 시작인 5월 10일에 개방해 국민들께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윤 당선인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쉬운 ...
-
고용노동부, 여행업 등 14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연장 및 택시운송업 신규 지정
고용노동부는 ’22년도 제2차 고용정책심의회를 3월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 여행업 등 이미 지정된 14개 특별고용지원업종의 지정기간 연장과 택시운송업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지정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심의회는 업종별 피보험자 수 감소율,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율, 종사자 수 등 고용 관련 지표와 산업생산지수, 기...
-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 열려
윤석열 정부의 태동을 알리는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이 열렸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비롯해 안철수 인수위원장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및 인수위원들은 18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에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했다.
-
외교부, 3월 21일부터 러시아 교민 ․ 유학생 등을 위한 신속해외송금제도 확대 운영
외교부는 대러 제재로 인해 생활비와 유학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교민과 유학생 등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3.21.(월) 부터 러시아 주재 우리 공관(5개)에서 신속해외송금 제도를 한시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번 조치를 통해 신청한도는 현행 3,000미불에서 8,000미불로 증액되었으며, 회당 신청 금액은 4개 단위(500, 1,000, 1,...
-
“항공노동자 코로나 회복 지원대책 마련하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공항·항공노동자 고용안정쟁취 투쟁본부는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FLY 2022 공항·항공노동자 코로나 회복 지원대책 요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기자회견에 참가한 항공산업 노동자들은 현 정부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특별고용지원업종 기한 및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1년 보장 등 지원...
-
“주 40시간 택시월급제 시행하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택시지부 조합원과 시민사회단체 주요 멤버들은 15일 오전 서울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뛰뛰빵빵 4.2 택시 희망버스 계획발표 기자회견`을 가졌다.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은 택시발전법 시행을 요구하며 국토교통부 앞 망루에 오른 택시노동자의 고공농성 300일 사태해결과 “주 40시간 택시월급제 시행”...
-
윤석열 당선인 "민정수석실 폐지하겠다"
새로 탄생하는 윤석열 정부에서는 ‘권력의 핵’이라고 불리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폐지될 전망이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4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안철수 인수위원장, 권영세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본부장과 차담회를 갖고 "민정수석실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과거 사정기관을 장악...
-
“문 대통령, 발전소 비정규직과의 약속 지켜라”
민주노총 발전비정규노조원들은 14일 오후 빗줄기 속에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발전소 비정규직과의 약속을 지켜라!’ 제목의 기자회견을 열었다.노조원들은 “발전소 비정규직에 대한 희망고문을 이제 중단하고 정규직화를 즉각 이행하라”고 주장하면서 “경상정비분야 공동수급의무화 계...
-
국토부, HDC 아파트 붕괴사고 주요 원인은 “무단 구조변경”
국토교통부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는 지난 1월 11일 광주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사조위는 건축구조・건축시공・법률 등 관련 분야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월 12일부터 약 2개월간 사고원인을 조사했다.이번 사고원인...